
구글 Bard 챗GPT 장점 단점 12가지 핵심 비교
점점 인공지능 생성형 AI의 사용자가 늘어나면서 다양한 각도로 비교와 분석이 속출하고 있습니다.
우선 개개인의 용도와 목적에 맞게 사용하는것에는 특수한 플러그인이 챗지피티 Chat GPT에는 가능하기도 하며, 인터넷 접속을 통한 실시간의 용도에 Bard는 특화된 장점이 있다는것은 일반적인 비교입니다.
그 성능 자체에 대해서 사용자 입장에서의 비교를 중점으로 각각의 장점과 단점을 압축하여 정리하였습니다. 워낙 많은분들이 정확한 비교를 원하는 요청이 있어서 핵심 액기스를 뽑아서 완전한 비교를 해보도록 하겠습니다.
구글 바드 Google Bard : 장점 단점
바드의 장점
Bard는 프롬프트를 쉽게 수정하고 바드의 답변을 문서 작성 툴인 Google Docs 및 Gmail로 내보내기 편합니다. 대화를 공유하는 기능을 포함하여 전반적으로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합니다.
이것은 사용자에 있어서 간편하게 공유기능이나 문서 작성툴인 Docs 와의 연계성을 이야기 하고 있습니다. 웹이나 PC환경에서의 접근 가능성이 좋다는 이야기입니다. 만일 구글 Docs나 Gmail을 사용하지 않는다면 조금 다른 이야기가 되겠지요
Bard는 ChatGPT보다 빠르게 웹 검색을 수행할 수 있으며 모든 사용자에게 무료로 제공합니다.
위 사항과 마찬가지로 웹 검색이 가능한것은 웹 연계성에 대한 기능이자 편의성입니다. 인공지능의 논리적 답변과 함께 정보의 충족성에서 기존 구글의 정보량은 엄청납니다. 그리고 이런한 데이터 자체만으로도 충분한 정보 제공의 이점이 있음을 강조한것입니다.
가격에서는 무료가 장점이지만, 그 품질과 충실도는 단언하기 어렵습니다. 보다 많은 사람이 간편히 사용할수 있다는 무료 서비스는 한편으로 인공지능의 고품질의 답변에서는 그만큼 보편적이므로 무료 = 품질도 좋다 이런 연관성은 거의 없기 때문입니다.
Bard는 웹에서 이미지를 검색할 수 있습니다.
오랜동안 웹검색에서 많은 사람들은 글자만을 데이터로 간주하였습니다. 빡빡하게 정리된 PDF로 발간되는 문서만이 고급정보라는 인식도 많이 있었습니다. 동영상은 이미지보다는 훨씬 더 다량의 데이터를 전달하는 동적 매체입니다. 이미지는 동영상보다는 못하지만, 직관적으로 이미지 테이블 표라든가, 차트라든가, 그래픽 이미지로도 충분히 글자보다는 함축적이고 이해가 쉬운 데이터를 전달하는 매체임이 틀림없습니다.
이런 이미지에 접근한다는것은 멀티모달 multi modal 즉 모드가 여러가지를 한꺼번에 인식하는것이므로 분명한 장점입니다. 그래서 구글은 이것을 강화시켜 차세대 인공지능 구글의 Gemini 제미니로 그 멀티모달의 장점을 연장시킨것입니다.

바드의 단점
Bard는 답변을 보이스 즉 소리로 읽을 수 있지만 로봇같은 음성에는 아쉬운 점이 많습니다.
무료라서일까요? 이런 기계적이고 약간 저성능의 보이스 음성은 실망스럽다는 의견이 많습니다.
Bard는 답변의 근거를 제공합니다. 소스와 외부 링크를 제공하지만 소스가 항상 신뢰할 수 있는 것은 아닙니다.
만일 이런 소스가 가짜뉴스라던가 별로 신뢰하지 않는 정보이지만, 놀랄만한 이야기 즉 음모론같은 이야기라서 사람들이 호기심에 조회수가 많다면, 그래서 바드가 이런 이야기를 근거로 답변을 만들고 소스를 제공한다면, 인공지능의 우수성이 가짜 뉴스의 악의성에 가려지는 셈입니다. 그나마 소스를 제공하므로 사용자는 그 소스의 신뢰도는 스스로 판단할 수 있다는 것이 다행이겠지요.
Bard는 Google 앱 이외의 플러그인이나 통합 없이 상당히 격리된 환경을 제공합니다.
바드는 플러그인이 상당히 약합니다. 다양한 기능의 접합을 할수 없으므로 제한된 기능으로 국한되는 약점이 있습니다. 챗지피티가 열린 공간에서 다양한 비즈니스, 생산성, 문서, 인터넷 접속, 다국어, 마케팅전문 이런 특화된 기능을 연계시켜 사용가능하다면, 구글 바드는 이점에서 매우 제한적이고 약합니다. 구글 바드의 개선점이 다음 버전에서 대폭 강화된다는 이야기도 그래서 나온것입니다.
오픈 AI 챗지피티 Open AI Chat GPT : 장점 단점
챗지피티 장점
ChatGPT는 장문의 기사, 이메일 등 텍스트 생성에 더 뛰어나며 AI 이미지도 생성할 수 있습니다.
챗지피티는 문서의 작성에 특화되어 있습니다. 반면 구글 바드는 리서치 즉, 조사나 발굴, 연구자료의 검색과 같이 마치 구글의 검색기능에 인공지능이 좀 더 보강된 버전인것입니다.
그래서 챗지피티는 기사, 보고서, 회사 업무에서의 각종 문서등에서 창의적인 작가이며 글 편집자이며, 기자와도 같은 역할입니다. 이에 반해 구글 바드는 무엇일까요? 조사 연구원이라고 보면 정확한 비교입니다.
ChatGPT는 다른 사람과 대화를 공유할 수 있는 기능을 통해 공동 작업 환경을 제공합니다.
공동작업과 공유는 비슷하지만 약간 다른 기능입니다. 챗지피티는 여러 사람이 동시에 공동작업을 할 수 있는 기능이 구글 바드에 비해서 뛰어납니다.
ChatGPT에는 다양한 앱을 통해 더 많은 활용을 제공하는 플러그인이 있습니다.
이점은 위에서 설명한 구글 바드의 단점, 즉 플러그인이 부족한 폐쇄성을 생각해보면 바로 챗지피티의 열린 개방성이 왜 장점인지 알것입니다.

챗GPT 단점
웹 액세스는 ChatGPT Plus 및 Enterprise 사용자에게만 제공됩니다.
날개를 달고 웹을 누비면서 인공지능의 기능도 덧붙여 사용한다는것은 무적에 가까운 기능입니다. 챗지피티는 무료버전에서 이러한 액세스가 불가능합니다. 즉 한 지역에서만 뚜벅거리고 다닐 뿐, 비행기를 타고 유럽이나 호주와 같은 오지를 탐색할수 없는 제한된 여행자의 심정과도 비슷합니다.
웹 검색은 Bard보다 결함이 있고 훨씬 느리게 실행될 수 있습니다.
아무래도 웹 검색은 구글의 장점이며 특화된 부분입니다. 그래서 이부분은 구글 바드가 챗지피티보다 우수합니다. 구글이 웹에서 처음 사업을 시작한 거대기업이므로 당연할지도 모르겠습니다. 하여간 챗지피티는 웹과의 연동성은 매우 불리합니다.
ChatGPT에서는 이미지로 대화를 공유할 수 없습니다.
Bard와 ChatGPT (유료 사용자 한정)는 프롬프트를 통해 이미지를 분석할 수 있습니다. Bard에서는 무료로 분석할 수 있습니다. 챗지피티 무료 사용자는 사용할 수 없습니다. ChatGPT Plus 및 Enterprise 사용자는 ChatGPT를 사용하여 동일한 작업을 수행할 수 있지만 해당 대화 또는 이미지가 포함된 ChatGPT 대화를 다른 사람과 공유할 수는 없습니다.
Wide AI GPT에서 더 알아보기
구독을 신청하면 최신 게시물을 이메일로 받아볼 수 있습니다.